안녕하세요, 떡상개미 입니다.
이번에 알아볼 내용은 '고향사랑 기부제' 입니다.
혹시 들어는 보셨나요 ?
대부분 생소하다고 느껴지실 탠데요.
" 네 맞습니다. "
올해 생긴 기부제 인데요.
우리가 알고있던 기부는, 단순히 돈을 버린다 ? 라는 이미지가 강합니다.
하지만, 이번에 그 편견 깨버리도록 할게요.
기부하고 본인들이 도움이 많이 되는 것을 제가 가져와봤어요 ^^
고향사랑 기부제란 ?
현 주소지 외에 다른지역에 기부하면 세액공제와 답례품(지역 특산품)을 받는 제도.
1인당 연간 500만원 한도 (법인 기부 불가)
10만원 기부 시 전액 세액공제 ( 10만원 초과 시 16.5% )
여기서 우리가 꼭 해야될 부분은 최소 10만원이상 기부 입니다.
10만원을 할 경우, 10만원 세액공제와 함께 30% 인 3만원의 답례품을 지급받게 됩니다.
주로 지역 특산물, 지역상품권, 서비스 상품 등 받게 됩니다.
세액공제는 연말정산시 들어가게 됩니다.
하는 이유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지역 인구가 감소하고
지방재정이 어려워 지게 됩니다.
그래서 지역 발전과 재정을 확충하기 위한 부분과, 답례품 제공 사업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가 주 목적입니다.
아이디어 뱅크는 일본에서 가져왔다.
우리가 올해부터 시작한 고향사랑기부제는 일본에서 영감을 얻어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일본은 사실 오래전 부터 시행했었는데요.
3~4년 정도는 빛을 보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꾸준히 시행한 결과, 2008년에는 한화 약 865억원 에서
2020년 기준, 7조 1486억원이나 증가하면서 무려 13년만에 82배나 증가한 효과를 보였는데요.
이러한 부분에서 같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지역 경제가 많이 죽다보니 따라서 시행한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한국과 일본의 기부제는 조금 다르다.
살짝 다른 부분이 있었습니다.
우리는 모든 개인의 기부가 인정되지만, 일본은 개인 중에서도 도시민의 기부만 가능합니다.
우리는 법인카드로 기부가 불가능하지만, 일본은 가능합니다.
우리는 현재 거주지 이외의 지역에 기부금을 기부하지만, 일본은 원하는 곳에 기부가 가능합니다.
하는 방법
네이버나 구글 중에서 아무곳에나 검색해도 메인에 사이트가 보입니다.
메인에 바로 고향사랑 기부하기와 함께 답례품도 볼 수 있습니다.
솔직히 좋은 마음으로 기부하는것두 좋지만, 우리가 원하는건 답례품이 아닐까요 ?
그러니 먼저 답례품에 어떤것이 있는지 확인해 주는게 필수 입니다.
카테고리만 봐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퀄리티가 좋고 가격이 저렴해서 더 비싼것들도 하고 싶다면
10만원 이상 기부하셔도 좋습니다.
대충 여기서 본인이 어떤 답례품을 가지고 싶은지 보시고 지역에 맞게 기부하시면 되겠습니다.
고향사랑 메인 홈페이지에서 '고향사랑기부하기' 만 누르셔도
기부제 안내, 기부 절차 안내, 연말정산 간편서비스 안내 등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나는 그래도 잘 모르겠다..
그러면 오프라인 기부 안내라는 칸이 있습니다.
여기 가셔서 봐도 되는데
애초에 사이트 자체를 들어가는게 어렵다 하시는 분들은
가까운 농협 지점에 방문해서 직원분에게 물어보시면 친절하게 답해드립니다.
은행 담당자가 납부 신청서를 주면, 절차에 맡게 작성해주면 오프라인 기부가 완료됩니다.
어렵지 않아요.
※ 답례품 구매를 위해서는 납부신청서에 적힌 아이디가 필요하므로 분실/폐기 하지 않도록 주의 바랍니다.
이렇게 이번에는 되게 유익한 정보가 되었다고 생각하는데요.
저 또한 알고는 있었지만 이렇게 정리를 해보니 조금 더 자세히 누군가에게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주변에 아직 잘 모르는 분들이 있다면 많이 알려서 꿩먹고 알먹기로 지역발전과 함께 세액공제 및 답례품 혜택도 받아가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다음에는 더 좋은 정보꿀팁으로 찾아뵐게요.
안녕 ~

'국내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28일 부터 만 나이로 개정된다, 계산법과 달라지는 것들 정리 (1) | 2023.06.01 |
---|---|
대한민국 투자 멘토 '존리' 인물의 성공과 몰락 / 주식투자의 신 이였는데.. (2) | 2023.05.28 |
해외 뿐만 아니라 국내 마약도 엄청 심하다. 주 고객사는 10대들 (6) | 2023.05.23 |
누리호 3차 발사 임박. 이번 누리호는 어떤게 다를까 ? 이제 실전이다! (2) | 2023.05.22 |
OECD 출산율 0.78명 꼴등, 저출산 원인과 해결방안 알아도 안하는 이유 (3) | 2023.05.21 |